티스토리 뷰

LG전자 자율 주행 기술 시연 성공


최근에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자율 주행 관련하여 LG전자에서도 기술 개발 하여 시연에 성공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LG전자에서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은 V2X 기술로 기존 자동차 업체에서 주로 개발하고 있는 ADAS 기술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V2X, ADAS 등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이 있으실텐데요 용어를 먼저 정리하겠습니다.




V2X란?


V2X는 Vehicle To X로 차량과 외부 통신을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차량과 차량 (V2V: Vehicle to Vehicle)

- 차량과 인프라(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 차량과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

- 차량과 스마트기기 간의 외부 통신(V2N: Vehicle-to-Nomadic device)


위와 같이 차량과 다른 차량, 차량과 주변 빌딩, 신호등 등의 인프라와의 연결, 차량과 주변 보행자와의 연결, 차량과 외부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ADAS란?


ADAS는 Advanced Driving Assistant System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즉,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의미 합니다. 기존에는  능동적 안전 기술 정도로 ADAS의 기능이 제한적이었는데요, 기능과 역할이 늘어나면서 자율주행에 도움을 주는 기술들을 의미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ADAS 기술을 자율주행 기술 그 자체로 보는 경우까지 의미가 확대 되었습니다.


V2X와 ADAS 감지 방식의 특징을 간단히 아래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ADAS

V2X 

 감지 방법

주변 물체를 카메라 센서, 레이더, 라이다 등을 이용하여 감지

주변 물체 및 사람과 통신 연결을 통한 감지

 감지 범위

센서 및 레이더로 직접 측정되는 거리까지만 가능

센서 및 레이더로는 직접 측정되지 않는 부분까지 감지



 LG전자는 기존의 ADAS 기술과는 다른 방향으로 자율주행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발표 했습니다. 여기서 사용된 LTE 통신 기반 V2X 기술은 차량 바로 전후방 뿐만 아니라 가시권 밖의 먼 거리장애물 뒤 위험 요인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LG전자는 이 기술 시연을 두 군데서 진행을 했는데요, 첫 번째로는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주행시험장에서 진행을 했고, 두 번째로는 경기도 과천시 일반도로에서 진행을 하여 V2X 기술시연 및 성능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0일 발표 했습니다.

 

LG전자가 시연에서 보여준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방 공사현장 경고 기술 : 공사 현장 정보를 도로 인프라로 보내주면 근처에 접근하는 차량이 이 정보를 받아서 위험을 미리 피할 수 있도록 도움.

- 선행차량 급제동 경고 : 차량 운행중 선행 차량이 급제동을 할 경우 해당 정보를 1단계 경고와 함께 후행 차량에 이 정보를 전달해 주는 기술. 1단계 경보 후에 후행 차량이 안전 거리를 확보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으로 경고가 울리는 기술.


위 기술들은 V2X 이기에 가능한 기술인데요, 기술이 상용화가 되면 운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통신은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기구 (3GPP)가 올해 규정한 LTE V2X 국제 표준을 사용했습니다.

 

LG전자는 향후 커넥티드카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 5G 기반의 V2X 분야에도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에는 통신 반도체 분야 기업인 퀄컴과 5G 기반 V2X를 비롯한 차세대 커넥티드카 개발을 위해 공동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윤용철 LG전자 자동차부품기술센터장 전무는 “이번 V2X 안전기술 개발 성공은 업계를 주도해 온 LG전자의 기술력을 또 한번 입증한 것이라며 “LG전자가 주요 완성차 고객들의 자율주행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앞선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


기존 ADAS 대비 인프라 및 통신 기술의 발전이 더 필요하다고 보이지만 V2X를 통한 커넥티트 자동차 시장에서 앞으로 기업들이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 지 생각해 볼 만한 점이라고 보입니다.


댓글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